우석균 칼럼:
복지국가, 무엇이 실종됐나?
〈노동자 연대〉 구독
미국에서도 대통령 선거 유세전이 한창이다. 이번에도 4년 전 선거와 마찬가지로
오바마의 의료개혁안은 의료보험이 없는 사람들 3천1백만 명을 의료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시키는 것이 골자다. 2009년에 법안은 통과됐다.
그런데 아직까지 시행되지 못한 까닭은 공화당이 의료보험 의무가입과 가입하지 않는 사람에게 벌금을 물리는 것은
이로써 2014년부터 시행될 의료보험 의무가입을 위한 법적 근거는 마련됐지만 아직 끝난 것이 아니다. 공화당의 롬니가 당선하는 즉시 의료개혁을 무효화하겠다고 공약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문제는 사실 미국 의료개혁의 성사 여부가 아니다. 오히려 오바마의 의료개혁이 진짜 의료개혁인지가 문제다. 오바마
상황이 이러니 미 공화당이
4년 전 대통령 선거 유세 당시 오바마는
오바마 집권 초기로 돌아가 보자. 2009년 12월 24일 상원에서 의료개혁법안이 통과됐을 때 오바마는
후진적
의사당에 휠체어를 타고 나온 로버트 버드 민주당 최고령 상원의원은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물론이고 존. F. 케네디가 추진했던 의료개혁은 오바마가 추진하는 의료개혁과는 전혀 다른 공적 전국민 건강보험 도입이었다. 당시 여기에 대항해 내놓은 리처드 닉슨의 공약이 바로 공
왜 이렇게까지 된 것일까? 오바마는 전국민의료보험 도입 운동
미국의 대중이 보수적이 된 것일까? 오바마가 공적보험안을 포기한 후 여론조사는 오바마의 의료개혁안에 대한 찬반이 뒤집어져 반대표가 더 많아졌음을 보여 준다.
이에 대한 답은 1960년대와 현재의 미국의 진보적 사회운동의 존재와 조직화 수준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1960년대 미국은 민권운동과 반전운동으로 대표되는, 진보적 대중운동이 매우 활발했던 시기다.
이를 바탕으로 미국에서는 1960년대에 그나마 현재 의료보장체계의 근간을 이루는 메디케어
사회보장제도의 역사는, 설사 어떤 복지제도가 보수정당에 의해 도입된다 하더라도 진보적 대중운동이 그 동력이었음을 보여 준다. 비스마르크 시대가 대표적 예다. 흔히 비스마르크를 건강보험제도와 산재보험제도, 연금제도 등의 사회보장제도를 최초로 도입한 인물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비스마르크는 복지제도를 도입하고 싶어 도입한 것이 아니다.
동력
유럽 전역을 휩쓴 혁명의 파도 속에서
비스마르크 자신도 1884년 11월 독일제국의회 연설에서
오늘날 어떤 복지국가 논자들은 이번 대선에서 복지국가 논의가 실종되고 있다고, 핵심 쟁점이 아니라 하위 쟁점이 되고 말았다고 한탄한다.
예를 들어 김윤태 교수는
문제가 복지담론의 실종 혹은 보편증세 담론의 실종인가? 내가 보기에 복지담론이 실종됐다는 것도 과도한 주장으로 보인다. 박근혜까지 복지 공약을 내걸고 있는 것은 오히려 현 체제에 대한 대중의 불만이 매우 크다는 것의 반증일 뿐이다.
지금 실종된 것은 누구나 돈을 내자는 보편증세 담론이 아니라, 왜 부자들과 기업들만 배부르고 서민들은 더 못살게 됐는가를 똑바로 묻고 바로 부자들과 기업주들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정직하게 주장할 진보정당과 노동운동이 아닐까?
실종된 것은, 복지국가가 부자와 빈자가
그리고 역사가 우리에게 가르치는 것은 이러한 진보세력 없이는 누가 대통령이 되고, 집권을 하든 복지는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금 우리가 진정으로 걱정해야 할 것은